Differences
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.
data_analysis:statistical_cognitive_bias [2025/06/26 13:51] – prgram | data_analysis:statistical_cognitive_bias [2025/07/07 14:12] (current) – external edit 127.0.0.1 | ||
---|---|---|---|
Line 84: | Line 84: | ||
< | < | ||
인생의 그 무엇도 그것에 대해 생각할 때 그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만큼 중요하지 않음 | 인생의 그 무엇도 그것에 대해 생각할 때 그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만큼 중요하지 않음 | ||
+ | |||
+ | < | ||
Line 90: | Line 92: | ||
* ex.기부상황 - 단독: 돌고래 > 피부암 (죽음vs병), | * ex.기부상황 - 단독: 돌고래 > 피부암 (죽음vs병), | ||
* ex. 사전 A: 1993년 발간, 1만 단어, 새것같음, | * ex. 사전 A: 1993년 발간, 1만 단어, 새것같음, | ||
+ | * 따로 물으면 A의 가치를 더 높게 보지만, 같이 놓게 되면 단어수가 사람들의 주의를 끌게 됨 | ||
* 당신이 프레임을 확대할 때 좀 더 합리적 결정을 내리는 경우가 종종 있음 | * 당신이 프레임을 확대할 때 좀 더 합리적 결정을 내리는 경우가 종종 있음 | ||
Line 205: | Line 208: | ||
cross-sectional problem : 일정 시점에서 보면, 가장 큰 성공을 거두는 트레이더는 시장의 최고 순환주기에 잘 맞는 트레이더 | cross-sectional problem : 일정 시점에서 보면, 가장 큰 성공을 거두는 트레이더는 시장의 최고 순환주기에 잘 맞는 트레이더 | ||
진화는 시계열 한 시점에 적합하다는 뜻. 모든 환경에 적합하다는 뜻이 아님. - 시간을 무한대로 연장하면, | 진화는 시계열 한 시점에 적합하다는 뜻. 모든 환경에 적합하다는 뜻이 아님. - 시간을 무한대로 연장하면, | ||
+ | |||
=== 정도의 짝짓기 === | === 정도의 짝짓기 === | ||
< | < | ||
Line 219: | Line 223: | ||
인과성에 대한 착각 | 인과성에 대한 착각 | ||
ex. 복잡한 뉴욕거리에서 제인은 지갑이 없어졌다는 것을 깨달았다.. - 소매치기? | ex. 복잡한 뉴욕거리에서 제인은 지갑이 없어졌다는 것을 깨달았다.. - 소매치기? | ||
+ | |||
+ | 두 현상이 인과적으로 관련되어 있는지 알아내려 할 때, 대개 발생했던 일에는 주의를 기울이고 기억을 하지만 발생하지 않았던 일에 대해서는 무시하거나 기억하지 않는다. ex. 새똥은 저격인가 우연인가 < | ||
===편안함=== | ===편안함=== | ||
Line 266: | Line 272: | ||
똑똑한 주인들은 직원들이 성공 가능성을 극대화하는 전략을 추구하도록 격려하고 그런 태도가 오히려 해고 가능성을 낮출 것임을 강조해야 | 똑똑한 주인들은 직원들이 성공 가능성을 극대화하는 전략을 추구하도록 격려하고 그런 태도가 오히려 해고 가능성을 낮출 것임을 강조해야 | ||
훌륭한 리더라면 그 결과에 상관없이 증거기반 의사결정을 통해 항상 보상 받을 수 있다는 확신을 전달하는 업무환경 조성해야 | 훌륭한 리더라면 그 결과에 상관없이 증거기반 의사결정을 통해 항상 보상 받을 수 있다는 확신을 전달하는 업무환경 조성해야 | ||
+ | |||
+ | |||
== Cargo Cult == | == Cargo Cult == | ||
Line 417: | Line 425: | ||
{{: | {{: | ||
+ | |||
+ | * 가까운 미래와 먼 미래의 평가가 달라짐 < | ||
+ | * 364일 뒤 19달러 받기보다 1년 뒤 20달러를 받고자 함. 하지만 내일 20달러를 받기보다 오늘 19달러를 받고자 함.(시간에 따라 상상의 구체성이 달라짐) | ||
==소유효과== | ==소유효과== | ||
Line 446: | Line 457: | ||
복잡한 의사결정을 못하는 인간에게 유용한 지름길이 될 수 도 있음 < | 복잡한 의사결정을 못하는 인간에게 유용한 지름길이 될 수 도 있음 < | ||
+ | |||
+ | * 가능한 대안을 생각해내는 일보다 과거를 기억하는 편이 훨씬 더 쉽다. 기억할 수 있는 과거가 있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을 다르게 취급 < | ||
+ | * 20$와 20$짜리 콘서트 티켓. 오는 길에 티켓을 잃어버림 : 사지 않겠다고 함 | ||
+ | * 20$ 지폐 두장이면 : 사겠다고 | ||
+ | * 전자의 경우 콘서트 타켓은 과거가 있다. 현재의 비용 40$와 과거의 20$를 비교. 후자는 과거가 없어서 다른 가능성(다른 곳에 돈 쓸까)를 비교할 수 있음. | ||
+ | |||
+ | |||
== 엘즈버그의 역설 | == 엘즈버그의 역설 | ||
Line 463: | Line 481: | ||
주의력 : 현금 vs 카드, 간편결제, | 주의력 : 현금 vs 카드, 간편결제, | ||
식사 금액을 쪼개는 방법 : 신용카드 룰렛 : 한사람의 지불 고통 < 다른 사람들의 줄어든 고통의 합 | 식사 금액을 쪼개는 방법 : 신용카드 룰렛 : 한사람의 지불 고통 < 다른 사람들의 줄어든 고통의 합 | ||
+ | |||
=== 왼쪽 자릿값 효과 === | === 왼쪽 자릿값 효과 === | ||
Line 729: | Line 748: | ||
* 저게 ' | * 저게 ' | ||
* 위험스럽게 흔들리는 다리 위에서 여성 만나면 전화 가능성 높음 | * 위험스럽게 흔들리는 다리 위에서 여성 만나면 전화 가능성 높음 | ||
+ | * 기억행위는 실제로 저장되지 않았던 세부사항을 나중에 ' | ||
+ | * 미래에 대한 상상은 구체성이 떨어진다. | ||
+ | * 잘못된 미래 예측 | ||
+ | * 클라크의 제 1법칙 : 나이가 지긋한 과학자가 어떤 현상에 대해 가능하다고 진술한다면 그 말은 십중팔구 옳다. 하지만 그가 어떤 현상에 대해 불가능하다고 말한다면 이는 대부분 사실이 아니다. | ||
+ | * 사람들이 그들이 현재 생각하고 행하고 말하는 것을 예전에도 그렇게 생각하고 행하고 말했었다고 회상하는 오류 | ||
+ | * 미래의 사건을 상상할 때, 논리적X, 상상에 대한 우리의 정서적 반응(오감, | ||
+ | * 상상하면서 경험하는 정서적 상태가 미래가 닥쳤을 때 실제 경험하는 우리의 정서와 같을 것이라고 추측 | ||
+ | * 현재의 감각에 영향 받음. 시간장소상황에 얽매임 | ||
+ | * 시간을 상상하는 일은 어렵다. 일단 현재에 일어나는 일처럼 상상한 후에, 그 사건이 미래에 일어날 점을 고려해 판단을 수정 | ||
+ | * 현재의 느낌이 시작점 | ||
+ | * 미래의 감정을 예측하고자 할 때 우리가 미래의 그 시점에서 그 일과 비교하게 될 대상이 무엇인가 고려해야지, | ||
+ | * 우리는 우리가 듣고 싶어하는 답을 말해줄 만한 사람을 미리 선택해 놓고, 더불어 그에게 우리가 듣고 싶어하는 말을 하도록 교묘하게 유도하고는 그들이 우리가 원하는 말을 하게 되면 그걸 그대로 받아들이는 존재 | ||
+ | * 외향인이 성공한다는 증거 -> 자신의 외향적 행동 생각 / 반대는 반대로 생각 | ||
+ | * 사귀었던 사람 중에 내가 가장 좋은 연인이야? | ||
+ | * 선택적으로 주위를 둘러봄 (나보다 못한 사람 정보만) -> 내가 더 잘나보임 | ||
+ | * 자신이 선호하는 결론에 부합하지 않는 연구에 더 높은 기준 적용. 이중잣대 | ||
+ | * 장기적인 관점에서 보면, 사람들은 무언가를 했던 것보다 하지 않았던 것을 훨씬 더 많이 후회한다. | ||
+ | * 행동한 것에 대해 훨씬 더 쉽게 우리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해석할 수 있음 | ||
+ | * 그래서, 걱정했던 것 보다 나중에 그렇게 불행하지 않음 | ||
+ | * 피하거나 도망치거나 뒤바꿀 수 없는 상황은 심리적 면역체계를 발동시킴 | ||
+ | * 불쾌한 사건을 단지 설명하는 것만으로도 그 불쾌감은 줄어듬. (글쓰기, 자기 경험에 대한 설명) | ||
+ | * 설명되지 않고 미궁으로 남겨진 사건은 감정적 영향력이 크다 | ||
+ | * 어떤 사건이 어떻게, 왜 일어났는지 설명을 듣고 나면 그 일이 미래에도 다시 일어날 수 있는 평범한 사건처럼 여겨짐. - 그 사건을 기억의 서랍 속에 잘 접어 넣고 다른 사건으로 생각을 넘김 | ||
+ | * 좋은 일이면 설명하지 않고, 그냥 남겨두는게 좋을지도.. - 그런데 사람은 불확실성보다 확실성을 더 선호함. | ||
+ | * 흔하지 않은 이례적인 사건들을 잘 기억하는 습관. 같은 실수를 반복하게 하는 주범 | ||
+ | * 우리가 기억하는 순간은 가장 좋았던or나빴던 순간이지, | ||
+ | * 우리의 뇌는 사실과 이론을 결합하여 과거 사건에 대한 추측을 만들어 내고, 동일한 원리로 과거의 감정을 추측. ex) 성별, 문화권 차이에 대한 이론. | ||
+ | * 상상의 오류 | ||
+ | * 1) 상상의 과정에서 우리가 없는 정보를 채워 넣거나, 있는 정보를 빠트린다. 빠트리는 내용 중에 정말로 중요한 것이 있다는 점. | ||
+ | * 풋볼팀 경기 후의 감정 예측 : 실제는 게임이 끝나고 시험공부를 해야 하는 상상을 못함. | ||
+ | * 2) 현재를 미래에 투사하는 경향 | ||
+ | * 3) 일단 어떤 일이 발생하고 나면 그 일은 상상할 때와 전혀 다른 모습이라는 점을 인식하지 못한다. | ||
+ | * 특히 나쁜 일은 실제로 일어나고 보면 상상했던 것 보다 훨씬 나아보이는데도. | ||
+ | * 다른 사람의 실제 경험을 사용하여 자신의 미래 감정을 예측하면 놀라울 정도로 정확하다. | ||
+ | * 우리가 ' | ||
+ | * 그러나 그렇게 하지 않는다. | ||
+ | * 사람들이 자신을 평균적인 인간으로 보지 않기 때문 | ||
+ | * 정확히 같은 일을 하고 있으면서도, | ||
+ | * 다른 사람의 선택은 그 사람의 특성에 원인, 우리는 그 선택 대상의 특징에 원인 | ||
+ | * 우리의 결정이 사회적 규범의 영향을 받는다는 점은 인식(수업 이해 못했지만, | ||
+ | * 우리의 선택이 뭔가를 좋아해서라기보다 다른 것을 싫어해서라는 것을 인정하면서(부시가 싫어서 케리에 투표) 다른 사람은 늘 그들이 좋아하는 것만 반영한다고 믿음 | ||
+ | * 1) 이세상에서 ' | ||
+ | | ||
---- | ---- |